개발 이야기(26)
-
Spring boot 2.4.5 @AuthenticationPrincipal occurs null
문제 Spring boot 2.4.5로 업그레이드 한 뒤 authentication 값이 null이다. @GetMapping("/api/users/me") public UserResponse getMe(@AuthenticationPrincipal 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 // ... // ... } 해결 PrincipalMethodArgumentResolver를 추가해도 되지만 그냥 @AuthenticationPrincipal annotation을 제거하면 된다. 스프링에서 문서 수정하는걸 깜빡 했나보다. 이슈 링크
2021.04.30 -
Vue.js 간단한 플러그인 만들기
Vue.js 플러그인 페이지의 로딩바를 보여주는 플러그인을 만들려고 한다. 요구사항 페이지 로딩 element는 1개만 관리하며 show/remove 한다. 페이지를 떠날때는 (뒤로가기 버튼 등) 로딩 상태를 remove 한다. (이 전 페이지로 갔는데 여전히 로딩중이면 이상하니깐~) element ui에서 제공하는 로딩 element를 이용한다. 결과물 로딩 클래스 /src/plugin/elloading/ElLoading.ts import * as $ from "jquery" export default class ElLoading { private readonly loadingElement: string private readonly elementId: string private readonly loa..
2020.11.20 -
Elasticsearch 기본 쿼리
개요 Elasticsearch cloud Seoul region이 2020년 8월에 출시했다. 현재 14일 무료 plan으로 테스트해보고 있다. 아래 내용은 모두 Elasticsearch 7.8에서 테스트 했다. 인덱스 생성 샤드는 1개, 레플리카는 0개로 설정한다. PUT /$index { "settings": { "index": { "number_of_shards": 1, "number_of_replicas": 0 } } }인덱스 생성 - mapping 정보 함께 생성 mapping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index에는 PUT /$index/$type/$id와 같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하지만 mapping정보까지 입력한 index에 데이터 입력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Elasticsearch 6..
2020.08.20 -
모던 레거시가 되지 않기 위한 노오오력
프로젝트 개발 초기에 여러 고민들이 생긴다. 그리고 결정해야 한다. 작은 문제로 치부하고 넘어가면 나중에 큰 골칫덩이가 되어 돌아오며 반대로 여러 상황을 가정하고 확장성을 고려하여 시간을 투자했다가 오버 엔지니어링과 시간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빠르게 의사결정하고 결과물을 만들어야 하는 회사에서는 오래 검토하고 논의할 시간(또는 동료)조차 없다. 현재 시스템에서 개발/운영하며 아쉬운 부분이 많이 생각날 수 있다. 개발자라면 누구나 "새롭게 만든다면 잘할 수 있을 텐데"라고 생각한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정작 새롭게 만든 시스템이 완벽하게 릴리즈 되어 유지되는 케이스는 본 적 없다. 한 번 만든 시스템이 완벽하다면 개발자라는 직업은 사라지지 않았을까? 그럼에도 절대 양보할 수 없는 부분들이 있..
2020.08.05 -
맥에서 zip 압축해제 오류 (오류 22 - 유효하지 않은 변수, Illegal byte sequence)
맥에서 zip파일 압축 해제시 오류 22 - 유효하지 않은 변수가 발생했다. 터미널에서 unzip으로 해제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 unzip name.zip error: cannot create -�_+�++����.txt Illegal byte sequence error: cannot create -�_+�++����.txt Illegal byte sequence윈도우쪽에서 특이하게 압축된 파일인경우 발생하는 문제 같다. 귀찮아서 정확히 찾아보지는 않았다. 아무튼 아래 명령어로 해결할 수 있다. $ mkdir result # 반드시 압축 해제할 dir을 만들어야 한다. $ ditto -V -x -k --sequesterRsrc --rsrc ./result
2020.04.01 -
MacOS 설치 목록
폰트 Consolas Droid Sans Mono Open Sans 애플리케이션 설치 Chrome Karabiner Spectacle Alfred Homebrew Iterm2 Monosnap Tableplus Kakaotalk Line Intellij Bear Charles VSCode (sublime text) adoptopenjdk Logic OneDrive FinalCut Pro SourceTree brew bash-git-prompt node npm thefuck
2020.01.22 -
웹 서비스 출시 전 확인사항
개발자로 일하며 수 차례 서비스를 출시했지만 서비스 오픈은 언제나 설렌다. 정상적으로 작동할까?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된다. 내가 그동안 봐온 서비스 장애는 오픈 전 체크 리스트 or 성능 테스트를 통해 해결할 수 있던 것들이었다. 생각나는대로 정리해봤다. 로그 설정 로그 레벨 에러를 INFO레벨로 사용하지는 않았는가 확인한다. 그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다. 불필요한 DEBUG정보가 운영 환경에서 남도록 하지 않았는가 확인한다. 에러 로그 False 알람이 발생하지 않도록한다. 개발자가 정말 알아야 하는 (새벽에 slack으로 에러 알림을 받고 기상해서 바로 패치 후 hotfix로 내보내야 하는) 에러인 경우만 ERROR레벨을 사용한다. 로테이션 로그가 적절히 로테이션+삭제 되는지 확인한다. 이 설..
2019.12.04 -
webpack에서 splitChunks 무시하기 (Vue.js)
문제 npm run build를 실행하면 js, css 한 개씩 번들링이 되는게 아니라 chunk되어 생성된다. 이렇게 되면 index.html head에 들어가는 파일명이 매번 바뀌게 된다. 그러면 배포시 계획에 차질이 생기므로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였다. 그리고 내가 이쪽 지식이 없는게 문제였다. 현재 버젼 webpack: 4.41.2 vue-cli: 4.0.5 삽질 vue.config.js에 뭔 짓을 하면 될것 같은데? 라는 생각으로 찾아보기 시작했다. module.exports = { chainWebpack: (config) => { config.optimization.delete('splitChunks') }, webpack에 optimization 설정을 무시하려는건데 아무튼..
2019.11.27